'분류 전체보기' 카테고리의 글 목록 (69 Page)
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922

포르쉐 718 카이맨(Cayman) GT4 가격 제원 연비 포르쉐 718모델중에서 최상위 트림 밑에 있는 GT4입니다. 최상위 트림은 GT4 RS입니다. 911 카레라에도 GT3의 버전이 있습니다. 911 카레라 GT버전으로 718 카이맨 GT4를 만들었다는 말도 존재하듯 리어 윙도 장착되어 있습니다. 7,8세대의 전면부 디자인을 카이맨 GT4가 이어 받게 되기도 했습니다. 718 카이맨 GT4에 대하여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포르쉐 718 카이맨 GT4 자세히 알아보기 디자인 911 카레라 GT에만 있는 '고정식 리어 윙'이 여기에도 장착됩니다. 여기에 디퓨저가 적용된(방향제 디퓨저 아님) '리어 에이프런'으로 인하여 기존 모델보다 공기역학적으로 도로에 붙어 주행 할 수 있는 형태가 되었습니다. 사이드에 있는 '에어 인 테이크(공기흡입)'로 더 강렬한 인상을 .. 2022. 10. 14.
2023 레인지로버 벨라 가격 제원 연비 레인지보러의 스포츠(준대형)와 이보크(준중형) 사이의 위치에 있는 차량인 중형 SUV 벨라입니다. 레인지로버는 고급 SUV만 생산합니다. 그 중 벨라는 레인지로버의 4모델(레인지로버, 스포츠, 벨라, 이보크)중에 가장 늦게 출시 된 모델입니다. 이는 가장 최근에 만들어진 형태라는 말입니다. 랜드로버와 재규어가 같은 회사인거는 다들 아시겠지만, 재규어의 SUV인 F-페이스와 같은 플랫폼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가솔린과 디젤모델이 같이 판매되며 마일드하이브리드(MHEV)모델도 같이 판매 되고 있습니다. 벨라에 대하여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2023 레인지로버 벨라 자세히 알아보기 디자인 레인지로버 스포츠와 이보크의 중간사이즈로 차체의 비율과 디자인이 최적화된 형태이다라는 평이 있을정도로 디자인의 대한 점수가 .. 2022. 10. 12.
BMW XM, 멧돼지를 만든것인가? 대형 SUV를 두개나? 가격 제원 연비 BMW의 X7과 같은 플랫폼 바디(G바디)를 사용하는 또 다른 대형 SUV인 XM입니다. 플래그쉽 대형 SUV가 있는데 왜 또 대형 SUV를 만들어냈을까요? BMW XM은 M 50주년을 기념하여 M1 이후 최초로 선보이는 M의 하이 퍼포먼스 라인업중의 최초의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모델입니다. 키드니 그릴을 보고 돼지같다고 생각하는 분들도 많습니다. 개인적인 의견으로는 돼지보다는 장애물따위를 신경쓰지 않고 거침없이 질주하는 멧돼지의 느낌도 강하게 보입니다. XM을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2023 BMW XM 자세히 알아보기 왜 대형 SUV를 두개나 만들었을까 굳이 이유를 찾아 본다면 2가지를 말해볼 수 있습니다. BMW에서는 XM을 쿠페형 디자인으로 표기 하고 있습니다. BMW는 쿠페형 SUV를 SA.. 2022. 10. 5.
2023 벤츠 전기차 EQE 350+ 가격 제원 연비 국내에 벤츠 EQS 450+가 출시 된 후, 두번 째 전기차 세단으로 들어오는 EQE 350+ 모델입니다. 모델명으로 느낄 수 있듯이 EQS보자 작은 트림입니다. 하지만 EQS와 같은 플랫폼인 EVA를 사용합니다. 해외에는 AMG EQE 43, 53이 존재하지만 국내에는 350+만 출시 된 상태입니다. 나중에 AMG가 들어오면 다시 포스팅해보겠습니다. 지금 가장 핫한 전기차인 벤츠 EQE 350+를 알아보겠습니다. 2023 벤츠 전기차 EQE 350+ 자세히 알아보기 디자인 자세히 들여다 보지 않으면 EQS와 차이점을 느끼지 못할 정도로 비슷합니다. 심지어 후미등, 인테리어, 송풍구들의 위치와 디자인, 원터치 버튼들도 똑같다고 해도 과언은 아닙니다. EQS처럼 유선형의 매끄러운 디자인을 가지고 갑니다. .. 2022. 10. 5.
2023 BMW Z4(s20i, s30i, M40i) 3세대 페이스리프트 독일사이트 기준 BMW에서 생산하는 Z4가 페이스리프트 되어 공개 되었습니다. 해외사이트에는 판매되는 중이지만, 국내에는 아직 미판매중입니다. 토요타(Toyota)의 GR 수프라(5세대)와 플랫폼을 공유하게 되는 Z4임을 저번에 포스팅해드렸습니다. 페이스리프트 되기 전의 모델에 비해 그릴과 휠의 변경점만 보일뿐 다른점은 보이지 않았습니다. 앞서 말했듯 국내에는 정보가 아직 없기에 독일사이트 기준으로 Z4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2023 BMW Z4(s20i, s30i, M40i) 3세대 페이스리프트 자세히 알아보기 국내에 출고되는 BMW Z4의 s30i트림은 판매되지 않습니다. xDrive가 4륜구동이고 sDrive는 2륜구동인데, Z4는 2륜구동인 sDrive를 장착합니다. 이는 FR 구동방식을 말합니다. 전륜 엔진.. 2022. 10. 4.
포르쉐 타르가(Targa)의 어원, 탄생 배경 포르쉐 모델중에 911 카레라에만 있는 타르가(Targa)라는 트림을 본 적 있을겁니다. 아직 국내에는 많이 보이는 모델은 아니지만 해외에서는 도로에서도 많이 보이는 모델이고 포르쉐에서도 꾸준히 생산하고 있는 차량입니다. 911 카레라 중에서도 타르가 트림을 선택하면 옆면과 후면에 'Targa'라는 레터링이 새겨지듯이 타르가만의 특이함과 희귀성을 갖춘 모델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엔진과 퍼포먼스 적인 면에서도 다른 것이 있는지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포르쉐 타르가(Targa)는 무엇인가? 타르가의 이탈리아 어원은 방패를 뜻하는 의미입니다. 이탈리아 모터스포츠 경기인 타르가 폴로리오에서 11회 우승을 한 모델이 바로 911 타르가 였습니다. 이 레이스의 경기명을 가져와 타르가 라는 명칭을 부여했습니다. 스.. 2022. 9. 29.
포르쉐 718 GTS 4.0(카이맨, 박스터) 가격 제원 연비 알아보기 포르쉐(Porche)에서 제조되는 후륜구동이지만 미드쉽(엔진가운데배치) 엔진인 2인승 스포츠카입니다. 포르쉐의 가장 기본모델로 속해있던 '911 카레라'보다 작은 트림으로 출시되고 있습니다. BMW의 Z4나 아우디의 TT와 경쟁상대가 됩니다. 1996년도부터 생산되왔던 박스터와 2006년부터 생산되왔던 카이맨이 718의 숫자를 붙여 판매되는 중입니다. 박스터는 뚜껑없는 로드스터, 카이맨은 뚜껑이 덮혀있는 쿠페라고 구분하셔도 됩니다. 가격면이나 엔진면에서도 911 카레라보다는 낮게 측정되어 있지만 RR(엔진후미배치, 후륜구동)으로 50:50에 가까운 무게중심과 밸런스를 유지하며 최고의 스포츠카 구동을 자랑하기 때문에, 미드쉽 엔진 배치에 후륜구동인 718은 카레라보다 최고의 성능과 밸런스를 유지한 차량이라.. 2022. 9. 29.
2022 포르쉐 파나메라 페이스리프트 터보 S 가격 제원 연비 포르쉐에서 만든 FR(엔진 앞배치, 후륜구동)인 4도어의 차량입니다. 스포츠카 브랜드 이미지로 시작한 포르쉐이기에 4도어세단도 쿠페형식의 느낌으로 만들었습니다. 비슷한 느낌의 벤츠의 CLS가 있습니다.앞서 FR을 말한 이유는 포르쉐는 911과 718은 RR(엔진 후미배치, 후륜구동)이기에 더 특별합니다. 하지만 국내에 판매되는 파나메라 2세대는 AWD를 기본으로 장착하게 됩니다. 포르쉐에서 만든 패밀리카(4인승)이라고 말하면 좀 더 쉽게 이해가 되겠습니다. 벤츠의 CLS가 꾸준한 인기를 끌자 포르쉐에서도 파나메라를 출시하게 되었는데, 이에 벤츠는 AMG GT4도어를 내놓게 되어 서로 경쟁자의 경쟁자를 만들고 있는 셈이 되버렸습니다. 한 때, 유재석씨가 타고 다니는 차량으로도 인지도가 올랐던 모델이기도 합.. 2022. 9. 24.
하이브리드, 마일드 하이브리드(MHEV)와 플러그인 하이브리드(PHEV) 무엇이 좋을까? 내연기관의 차에서 전기차로 넘어가기 전에 각 자동차 제조사들은 '하이브리드'라는 기술을 개발했습니다. 쉽게 말하면 전기의 힘을 이용하는겁니다. 엔진과 전기의 힘을 합쳐 더 좋은 출력을 내고 심지어는 엔진을 가동하지 않고 전기만으로도 주행 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는 겁니다. 그럼 기름을 쓰지도 않고 주행을 할 수 있기에 연비에도 더 효과적인 기술이 된겁니다. 하이브리드가 연비에 좋은 영향을 주어 기름을 더 많이 넣지 않아도 되는 이점도 발생합니다. 하지만 하이브리드의 종류는 크게 보자면 3가지의 종류가 있습니다. 그냥 하이브리드, 마일드 하이브리드(MHEV) 그리고 플러그인 하이브리드(PHEV)가 존재합니다. 이 세가지의 차이점과 장점 그리고 단점도 같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하이브리드의 종류 하이브리드.. 2022. 9. 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