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과 몇 년 전까지만 해도 플러그인 하이브리드(PHEV)는 전기차와 내연기관의 완벽한 조합으로 불렸습니다. 하지만 충전 불편, 짧은 전기 주행거리, 복잡한 구조와 높은 가격이 발목을 잡고 있습니다.
예컨대, 하루 출퇴근 거리 40~50km를 커버하지 못하는 PHEV는 결국 매일 충전을 해야 하고, 배터리 용량은 작아 순수 전기주행만으로는 일상 운행이 어렵습니다. 그래서 최근 글로벌 시장은 “차세대 하이브리드” — EREV(주행거리 연장 전기차)에 주목하고 있습니다.
PHEV는 끝났다|GV70 EREV 하이브리드가 열어가는 1,000km 주행 시대
EREV란? — 발전기만 남긴 하이브리드
EREV(Extended Range Electric Vehicle)는 전기모터로만 주행하고, 엔진은 오직 발전기 역할만 수행하는 구조를 갖습니다.
즉, 차량의 바퀴는 항상 전기로만 구동되며, 엔진은 배터리의 잔량이 낮을 때 일정한 회전수로 발전해 전기를 공급하는 역할을 합니다. 변속기가 필요 없고, 토크 손실이 적으며, 정숙성도 뛰어납니다.
대표적인 예로는
- BYD ‘i-DM 하이브리드’,
- 닛산 e-POWER,
- BMW i3 레인지 익스텐더,
- 리오토 L9, 양왕 U8
등이 있으며, 이미 중국과 일본 시장에서는 EREV 중심의 하이브리드 체계로 전환이 가속화되고 있습니다.
제네시스 GV70, EREV 하이브리드로 진화 예고
최근 업계에 따르면 제네시스가 ‘GV70 EREV 하이브리드’를 개발 중인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이는 단순한 마일드 혹은 플러그인 하이브리드가 아닌, 엔진이 직접 구동하지 않고 배터리를 충전하는 ‘순수 직렬 하이브리드 구조’로 설계됩니다.
이 시스템은
- 2.5L 가솔린 엔진 + 고출력 전기모터 조합
- 약 1,000km 이상의 주행거리
- 전기모드만으로도 150km(WLTP 기준) 수준을 목표로 개발 중입니다.
GV70 EREV는 제네시스 전동화 라인업의 공백을 메우며, 순수 전기차 GV70 Electrified와 내연기관 GV70 사이의 ‘균형형 모델’로 포지셔닝될 전망입니다.
EREV vs PHEV — 구조적 차이 한눈에 비교
구분 | PHEV (Plug-in Hybrid) | EREV (Extended Range EV) |
---|---|---|
구동 방식 | 엔진 + 모터 병행 구동 | 전기모터 단독 구동 |
엔진 역할 | 구동 + 충전 병행 | 발전 전용 |
변속기 | 있음 (병렬형 구조) | 없음 (직렬형) |
주행 질감 | 하이브리드 특유의 변속감 | 순수 전기차와 유사한 주행감 |
효율성 | 중간 수준 | 고효율, 저소음, 저진동 |
유지보수 | 복잡 | 단순 |
요약하자면, PHEV는 하이브리드의 확장형, 반면 EREV는 전기차의 확장형입니다. 따라서 향후 기술 진화의 방향은 ‘EREV 기반 전동화’로 흘러갈 가능성이 높습니다.
글로벌 트렌드 — EREV 중심으로 재편되는 하이브리드 시장
중국은 이미 2023년부터 EREV를 ‘NEV(신에너지차)’ 범주로 공식 인정하고 대규모 보조금을 지급 중입니다. BYD, 리오토, 지커(ZEEKR) 등은 EREV 모델을 중심으로 연 100만 대 이상의 판매를 기록하고 있으며, 미국도 GM 볼트 이후 차세대 직렬 하이브리드 플랫폼 개발에 착수했습니다.
유럽 브랜드들도 PHEV 대신 EREV 전환을 검토 중으로, BMW는 차세대 5시리즈 하이브리드에 발전형 직렬 시스템을 시험 적용하고 있습니다.
EREV의 장점 요약
- 엔진 소음·진동 최소화, 주행감이 EV에 가깝다
- 전기 주행거리 증가, 실사용 효율 극대화
- 충전 인프라 제약 적음, 장거리 여행도 문제 없음
- 구조 단순화로 유지비 절감, 변속기 불필요
- 탄소배출량 최소화, 친환경 규제 충족
특히 도심 주행은 전기로, 장거리 주행은 엔진 발전으로 해결할 수 있어 ‘전기차의 현실적 대안’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EREV, 내연기관의 마지막 진화형
전문가들은 2030년 이후에도 EREV가 오랫동안 생존할 하이브리드 기술로 보고 있습니다. 순수 전기차 전환 속도가 더딘 국가나 장거리 중심 시장에서는 EREV가 EV보다 실용적인 대안이 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제네시스 GV70 EREV의 출시는 한국 브랜드가 본격적으로 직렬 하이브리드 시장에 진입하는 신호탄이 될 것이며, 현대차 그룹이 중국 BYD나 일본 닛산과 다른 기술 노선을 선택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큽니다.
'Car 지식 > 자동차 TECH 기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동차 성능의 핵심, 미드십 엔진이 핸들링을 좌우하는 3가지 이유 (0) | 2025.09.11 |
---|---|
썬팅 기사 구인 시 알아야 할 필수 조건 (0) | 2025.08.12 |
전기 자동차에 시동 배터리가 필요한 이유와 역할 (0) | 2025.03.01 |
BMW 샤이 테크(Shy Tech)란? 장단점은? (0) | 2023.08.04 |
HUD(헤드업 디스플레이)가 대체 뭐길래? 어디까지 발전한것인가 (0) | 2023.01.19 |
댓글